<퇴원환자 거주지 생활환경 개선사업 예시>
구 분 | 사업 예시 |
---|---|
주거환경개선 | - 노후 보일러나 싱크대 교체 - 낡은 창문이나 출입구 교체 - 장판이나 도배지 교체 또는 도색 - 휠체어 이동 가능하도록 문턱을 낮추거나 화장실 확장 |
안전 보조 장치 설치 | - 화장실, 방벽 등에 안전바 설치 - 바닥이나 벽면 충격 흡수 마감재 설치 - 야간센서등, 간접조명이나 LED 조명 등 설치 |
* 비약물 프로그램
비약물적 중재치료요법에는 인지치료, 행동요법, 현실요법, 인정요법, 향기요법, 회상요법, 음악치료, 미술치료 등이 있음.
치료 개입 또는 중재치료가 대상자로 하여금 안전감 및 편안함을 제공해야 하며 즐거움과 관리 받는 느낌을 경험할 수 있어야 하고 적절한 자극을 통해 최소한의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어야 함.
(출처: 치매의 비약물적 치료지침 개발연구(2022), 대한노인신경의학회 · 대한요양병원협회)
우선순위 | 치매 특화공간 조성 분류 |
---|---|
1 | 치매환자를 위한 특화공간 조성 (예시: 심리안정실, 일상생활 복귀훈련실, 배회공간, 회상공간, 원예 공간조성 등) |
2 | 치매환자 입원 병동 안전 환경 조성 (예시: 안전바 설치, 충격 흡수 마감재, 미끄럼 방지, 복도 사이드레일 설치 등) |
3 | 치매환자 입원 병동 환경개선 (예시: 도색, 도배, 게시판, 병실 인식표, 간접조명 설치 등) |
2 | 치매환자 입원 병동 외 환경 조성 및 물품 교체 및 설치 (예시: 변기 커버 교체, 커튼 교체, 특화공간 등 유지보수를 위한 물품 구매 등) |